그 결과, 사진 속 궁은 찬란함보다 정적이며 고요하고, 쓸쓸한 풍경으로 재구성됩니다. 본 작업에 사용된 적외선 촬영 기법은, 가시광선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포착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필터링된 일부의 빛을 통해 세계를 다시 구성하는 방식으로, 제한된 시선 속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왕후의 삶과 유사한 은유적 연결을 지닙니다. 최종 이미지의 색감은 푸른색과 분홍, 금빛에 가까운 갈색, 회색 등이 조화를 이루며 시각적으로는 화려하게 느껴질 수 있으나, 실상은 몇 가지 제한된 빛의 조합으로 형성된 차가운 구조입니다.이는 겉으로는 고귀하고 아름답게 보였던 왕후의 삶 또한, 실제로는 단조로움과 긴장 속에서 살아야 했던 차가운 구조 안의 삶이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본 작업은 왕후들의 시선을 상상하고, 그 시선의 고립과 제한성을 사진이라는 매체와 촬영 기법을 통해 형상화한 결과물입니다. 찬란함과 고요함, 아름다움과 쓸쓸함 사이에 놓인 이 공간을 통해, 우리는 지금의 삶 또한 얼마나 복합적인 감정과 구조 속에 위치하는지를 다시금 되돌아보게 됩니다.

왕후의 시선 _ 흩날리는 나무,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자경전 내부,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밖으로 본 풍경,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궁과 궁사이 ,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꽃담,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교태전 내부,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궁의 자리,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통명전,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켜켜이 쌓인 시대,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하늘이 보이는 창,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과거의 미래,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패턴,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밖이 보이는 창,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당신이 보는 천장1,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당신이 보는 천장2,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

왕후의 시선 _ 당신이 보는 천장3, 2016, Digital pigment print, 100*150cm, ed 5